티스토리 뷰

안녕하세요.


집값이 너무 비싸 돈을 모아도 내집 마련이 힘듭니다.


결혼을 해서 맞벌이를 하더라도 어렵게 내집 마련이 되는데요.


그래서 국가에서 다양한 주거안정정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.


그래서 오늘은 그 중 LH 전세임대주택 조건 신청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




LH 전세임대주택 조건 신청방법




1. 인터넷에 "마이홈"을 입력 후 검색해 주세요.


그럼 하단에 "마이홈" 홈페이지가 보입니다.


클릭해 주세요.


마이홈에서 임대주택 주거급여 입주자모집공고 등을 확인이 가능하며 자가진단을 통해서 자신의 조건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.



2. 전세임대주택 안내입니다.


전세임대주택은 도심내 최저소득계층이 현 생활권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기존주택에 대해 전세계약을 체결한 후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사업입니다.



3. 임대주택 종류가 다양합니다.


건설임대주택, 민간건설 임대주택, 공공건설, 매입임대주택이 있습니다/



4. 임대주택 종류별 공급주체입니다.


공공임대는 7가지 유형이 있으며 공급주체, 임대기간, 규모가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


5. 입주대상입니다.






기존주택 전세임대의 경우 생계급여/의료급여 수급자, 부도공공 임대아파트 퇴거자, 주거취약계층, 보증거절자, 공동생활가정, 긴급주거지원 대상자가 있으며 1순위 2순위가 있으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.



6. 대학생 전세임대, 신혼부부 전세임대 조건입니다.


대학생의 경우 대학 소재지 이외의 시나 군 출신 학생이며 1,2,3순위가 있습니다.


신혼부부의 경우에는 무주택이며 1순위~3순위 기타가 있으며 소득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.



7. 소년소녀가정 등 전세지원입니다.


소년소녀가정, 대리양육가정, 친인척위탁가정, 교통사고 유자녀 가정, 아동복지시설 퇴소자가 있으며 위의 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


8. 대상주택, 전세금지원 한도액입니다.


대상주택은 단독, 다가구, 다세대, 연립주택, 아파트, 오피스텔 중 국민주택 규모(전용면적 85m)이하 입니다.


전세금지원 한도액은 수도권 8500만원, 광역시 6500만원, 기타지역 5500만원입니다.



9. 임대조건, 임대기간입니다.


임대보증금은 한도액 범위내에서 전세지우너금의 5%입니다.


월임대료는 전세지원금 중 임대보증금을 제외한 금액에 대한 연 1~2%이내 해당액입니다.


임대기간은 최초 2년, 9회까지 재계약이 가능합니다.



10. 마지막으로 신청방법입니다.


입주대상별로 신청방법이 다릅니다.


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





이상으로 LH 전세임대주택 조건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

감사합니다.



댓글